(랩배틀)화폐경제학에 대한 2가지 대립 견해
케인즈: 20세기의 경제학자 중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한 인물. 케인즈주의의 창시자. 대공황의 영웅.
하이에크: 오스트리아 출신의 미국 이민자, 소련의 멸망을 예언한 신자유주의 경제학의 거두.
20세기 전반기(케인즈)와 후반기(하이에크)를 대표하는 두 거장의 랩배틀이다.
누구의 입장을 지지하는지 자가진단 해보는 것도 재미있을 것이다.
영상출처: www.youtube.com/user/imodiumg/videos?disable_polymer=1(연관성 판단)
1편: www.youtube.com/watch?v=Cc5n2xg7tK4
2편: www.youtube.com/watch?v=FXezfpt0Kbg
2020/05/25 - [투자리뷰] - 양적완화, New Normal
양적완화, New Normal
"월 스트리트에서는 새로운 일이 일어나지 않는다.(There is nothing new in Wall Street.)" - 제시 리버모어(Jesse Livermore) - 오늘은 채권 수익률과 신용등급의 관계, 그리고 채권수익률을 평가하는 방법을 ��
2ndflight.tistory.com
2020/05/17 - [투자리뷰] - 인플레이션과 기본소득제, 그리고 근로소득
인플레이션과 기본소득제, 그리고 근로소득
"인플레이션은 언제나, 어디서나 화폐적 현상이다. (inflation is always and everywhere a monetary phenomenon.)" - 밀턴 프리드먼(Milton Friedman) - 기본소득제는 인플레를 일으킬까? 정답은 "YES. AGAIN, YE..
2ndflight.tistory.com